심근경색 예방 식단 원칙 5가지
1.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줄이기
- 포화지방: 육류 기름, 전지유, 버터
- 트랜스지방: 마가린, 쇼트닝, 패스트푸드
→ 혈관을 막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입니다.
2. 식이섬유 풍부한 식품 섭취
- 현미, 귀리, 보리, 통밀빵
- 채소류: 브로콜리, 시금치, 고구마
→ 콜레스테롤 흡수를 줄이고 배출을 돕습니다.
3. 나트륨 섭취 제한
- 국물 음식, 젓갈, 가공식품 줄이기
- 하루 2,000mg(소금 5g) 이하 권장
→ 고혈압은 심근경색의 직접적 위험 요인입니다.
4. 건강한 지방 섭취
- 불포화지방: 등푸른 생선, 올리브유, 견과류
- 오메가-3 지방산: 혈중 중성지방 감소, 항염 효과
→ 혈관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5. 항산화 식품 섭취
- 토마토, 딸기, 녹차, 다크초콜릿
- 활성산소 제거 → 혈관 손상 방지
식사 구성 예시
아침
- 통밀식빵 + 삶은 달걀 1개
- 저지방 우유 또는 두유
- 방울토마토, 바나나
점심
- 현미밥 + 된장국(소금 줄이기)
- 생선구이(고등어, 연어 등)
- 나물반찬(기름 적게 사용)
- 김치 소량 또는 깍두기
저녁
- 보리밥 + 두부조림
- 시금치나 브로콜리 나물
- 아보카도 슬라이스 또는 호두 5알
- 미소된장국 (국물 적게)
피해야 할 식품들
- 튀김류, 가공육(햄, 소시지, 베이컨)
- 치즈, 버터 등 고지방 유제품
- 인스턴트 라면, 짜장면, 우동
- 설탕·소금이 많이 들어간 가공식품
- 카페인 과다 섭취, 과도한 음주
심장은 매일의 식탁에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은 약보다 강력한 예방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식단 관리가 곧 심근경색 예방의 핵심 전략입니다.
오늘 식단부터 바꿔보세요.
심장은 꾸준한 실천에 반응합니다.
'심근경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경색 예방하려면 반드시 지켜야 할 7가지 습관 (0) | 2025.07.20 |
---|---|
심전도로 심근경색을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0) | 2025.07.19 |
심근경색, 피 한 방울로 예측 가능할까? (0) | 2025.07.18 |
심근경색 진단, 병원에서는 무엇을 확인할까? (0) | 2025.07.17 |
심근경색 의심 시 119 신고 후 반드시 할 일 (0)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