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혈압

고혈압, 나트륨 외에도 이런 원인이 있습니다

by 하트케어 매니저 2025. 7. 29.

짠 걸 안 먹는데 왜 혈압이 높을까요?

짠 걸 안먹는데 왜 혈압이 높을까?

“국물도 안 마시고, 짠 음식도 피하는데 왜 혈압이 계속 높죠?”

고혈압 관리에서 가장 많이 듣는 조언은 **“소금 섭취를 줄이세요”**입니다.
그래서 나트륨을 줄이고 저염식을 실천하지만,
혈압이 여전히 높거나 오히려 더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땐 나트륨 이외의 원인을 점검해야 합니다.
고혈압은 단일 요인 질환이 아니라,
생활 습관, 유전,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 다양한 원인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1. 스트레스와 고혈압: 조용한 영향력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혈관이 수축합니다.
심박수가 빨라지고, 혈압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 고혈압도 만성화
  • 긴장성 고혈압(일명 ‘화이트 코트 고혈압’)도 해당

일과 가정 사이의 스트레스가 많은
40~60대 중장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스트레스

 

2. 유전적 영향: 가족력도 중요한 변수

부모 중 한 명이 고혈압이면 자녀의 고혈압 위험은 약 2~3배 증가합니다.
두 명 모두 고혈압이면 위험도는 4배 이상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체질적으로 염분에 민감하거나, 혈관 탄력이 떨어지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합니다.
  • 젊은 나이에 고혈압이 나타난다면 유전적 영향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유전은 바꿀 수 없지만,
생활습관으로 완화할 수는 있습니다.

3. 운동 부족: 혈관이 점점 더 경직됩니다

운동은 혈관을 부드럽게 하고, 심장을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합니다.
하지만 활동량이 부족하면 혈관은 점점 경직되고,
혈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혈압이 높아집니다.

  • 주 3~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이 이상적
  • 걷기, 자전거, 수영, 계단 오르기 등이 대표적

4. 체중 증가와 복부비만: 혈압 상승과 직결

체중이 늘면 심장이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해야 하므로 혈압이 높아집니다.
특히 복부비만은 내장지방이 혈관에 염증을 일으켜 고혈압을 유발합니다.

  • 허리둘레가 남자 90cm, 여자 85cm 이상이면 위험
  • 체중 1kg 감소 시, 혈압 약 1mmHg 감소 효과

체중증가

 

5.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 패턴

  • 수면 중 교감신경이 제대로 억제되지 않으면
    야간 고혈압 발생 가능성 증가
  • 불규칙한 수면, 수면무호흡증 등도 위험 요인

7시간 이상의 규칙적인 수면이
고혈압 예방에 중요합니다.

6. 과도한 음주, 카페인, 흡연

생활습관

  • : 하루 1~2잔 이상이면 혈압 상승
  • 카페인: 민감자에게는 혈압 급상승 가능
  • 흡연: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짠 걸 안 먹는데 왜 혈압이 높을까요?”
정답은 ‘짠 음식만이 문제는 아니다’입니다.

 

고혈압은 다요인성 질환입니다.
나트륨을 줄였는데도 혈압이 높다면,
스트레스, 유전, 운동, 체중, 수면, 음주 등의 다양한 요소를 함께 살펴야 합니다.

단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여러 요인을 조금씩 조절하는 것
고혈압을 제대로 관리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