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 걸 안 먹는데 왜 혈압이 높을까요?
“국물도 안 마시고, 짠 음식도 피하는데 왜 혈압이 계속 높죠?”
고혈압 관리에서 가장 많이 듣는 조언은 **“소금 섭취를 줄이세요”**입니다.
그래서 나트륨을 줄이고 저염식을 실천하지만,
혈압이 여전히 높거나 오히려 더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땐 나트륨 이외의 원인을 점검해야 합니다.
고혈압은 단일 요인 질환이 아니라,
생활 습관, 유전,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 다양한 원인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1. 스트레스와 고혈압: 조용한 영향력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혈관이 수축합니다.
심박수가 빨라지고, 혈압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 고혈압도 만성화
- 긴장성 고혈압(일명 ‘화이트 코트 고혈압’)도 해당
일과 가정 사이의 스트레스가 많은
40~60대 중장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2. 유전적 영향: 가족력도 중요한 변수
부모 중 한 명이 고혈압이면 자녀의 고혈압 위험은 약 2~3배 증가합니다.
두 명 모두 고혈압이면 위험도는 4배 이상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체질적으로 염분에 민감하거나, 혈관 탄력이 떨어지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합니다.
- 젊은 나이에 고혈압이 나타난다면 유전적 영향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유전은 바꿀 수 없지만,
생활습관으로 완화할 수는 있습니다.
3. 운동 부족: 혈관이 점점 더 경직됩니다
운동은 혈관을 부드럽게 하고, 심장을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합니다.
하지만 활동량이 부족하면 혈관은 점점 경직되고,
혈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혈압이 높아집니다.
- 주 3~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이 이상적
- 걷기, 자전거, 수영, 계단 오르기 등이 대표적
4. 체중 증가와 복부비만: 혈압 상승과 직결
체중이 늘면 심장이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해야 하므로 혈압이 높아집니다.
특히 복부비만은 내장지방이 혈관에 염증을 일으켜 고혈압을 유발합니다.
- 허리둘레가 남자 90cm, 여자 85cm 이상이면 위험
- 체중 1kg 감소 시, 혈압 약 1mmHg 감소 효과
5.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 패턴
- 수면 중 교감신경이 제대로 억제되지 않으면
→ 야간 고혈압 발생 가능성 증가 - 불규칙한 수면, 수면무호흡증 등도 위험 요인
7시간 이상의 규칙적인 수면이
고혈압 예방에 중요합니다.
6. 과도한 음주, 카페인, 흡연
- 술: 하루 1~2잔 이상이면 혈압 상승
- 카페인: 민감자에게는 혈압 급상승 가능
- 흡연: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짠 걸 안 먹는데 왜 혈압이 높을까요?”
정답은 ‘짠 음식만이 문제는 아니다’입니다.
고혈압은 다요인성 질환입니다.
나트륨을 줄였는데도 혈압이 높다면,
스트레스, 유전, 운동, 체중, 수면, 음주 등의 다양한 요소를 함께 살펴야 합니다.
단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여러 요인을 조금씩 조절하는 것이
고혈압을 제대로 관리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 대신 뭐 쓰면 좋을까요?” 고혈압 식단 필수 정보 (0) | 2025.07.28 |
---|---|
고혈압 환자가 국물부터 끊어야 하는 이유 (0) | 2025.07.27 |
하루 한 잔 커피, 정말 혈압에 안 좋을까? (0) | 2025.07.26 |
혈압 높다는데, 몸은 멀쩡해요. 그냥 놔둬도 되나요? (0) | 2025.07.25 |
하루 중 가장 정확한 혈압 측정 시간은?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