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잔 커피, 혈압에 괜찮을까?
“고혈압인데 커피 한 잔은 괜찮을까요?”
병원 진료실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많은 분들이 혈압 걱정에 좋아하던 커피를 단숨에 끊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커피 한 잔이 혈압에 큰 영향을 줄까요?
혹시, 마셔도 되는 사람과 피해야 할 사람이 따로 있는 건 아닐까요?
이번 글에서는 카페인이 혈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누가 더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자극합니다
카페인은 대표적인 중추신경계 자극제입니다.
섭취 후 약 30분~1시간 이내에 흡수되어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5~15mmHg 정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변화는 개인차가 큽니다.
- 어떤 사람은 커피 한 잔에도 두근거림, 불안, 가슴 통증을 느끼고
- 어떤 사람은 아메리카노 2잔을 마셔도 아무 변화가 없습니다.
핵심은 ‘카페인 민감도’
☆ 고카페인 민감자
- 커피, 에너지음료, 초콜릿 섭취 후 두근거림, 불면, 소화불량
- 보통 체질적으로 교감신경이 쉽게 자극되는 사람
★ 저카페인 민감자
- 커피 2~3잔에도 별다른 반응 없음
- 간 대사 속도가 빠르거나 커피에 익숙한 사람
고혈압 환자라면 자신이 카페인 민감자인지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 일시적인 혈압 상승은 입증되었지만,
장기적인 고혈압 위험 증가와의 연관성은 개인 차이에 따라 다릅니다. - 1일 1~2잔 수준의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해롭지 않거나 오히려 유익할 수 있다는 연구도 다수 존재합니다.
단, 이미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이나,
카페인 섭취 후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은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그럼, 하루 한 잔은 괜찮을까?
다음 기준을 참고해보세요.
항목기준
기저 혈압이 안정적이고 | 140/90mmHg 미만 |
카페인 섭취 후 불쾌 증상이 없다면 | 하루 1잔 이내 허용 가능 |
카페인 민감자가 아니라면 | 개인에 따라 1~2잔도 가능 |
섭취 시간 | 오전 1잔 권장, 저녁 이후는 피함 |
고혈압 환자를 위한 카페인 관리 팁
- 공복 섭취 피하기
→ 혈압 급상승 가능성 있음 - 오후 섭취 줄이기
→ 교감신경 자극 → 불면 → 혈압에 악영향 - 디카페인 커피 고려하기
→ 맛은 유지하고 자극은 줄이기 - 차(tea)류로 대체하기
→ 녹차, 보이차 등도 약한 카페인 포함
“고혈압인데 커피 마셔도 될까요?”
정답은 **“사람마다 다르다”**입니다.
하루 한 잔의 커피가 모두에게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혈압이 높거나, 커피를 마신 후 몸이 불편했다면
카페인을 줄이고 섭취 패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커피를 끊기보다는 현명하게 마시는 법을 아는 것이 고혈압 관리의 핵심입니다.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압 높다는데, 몸은 멀쩡해요. 그냥 놔둬도 되나요? (0) | 2025.07.25 |
---|---|
하루 중 가장 정확한 혈압 측정 시간은? (0) | 2025.07.24 |
잠자기 전 혈압 측정, 믿어도 될까요 (0) | 2025.07.23 |
혈압, 아침에 꼭 재야 하는 이유 (0) | 2025.07.22 |
하얀 가운 고혈압? 병원에서만 혈압이 높다고요?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