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혈압

하루 한 잔 커피, 정말 혈압에 안 좋을까?

by 하트케어 매니저 2025. 7. 26.

하루 한 잔 커피, 혈압에 괜찮을까?

“고혈압인데 커피 한 잔은 괜찮을까요?”
병원 진료실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많은 분들이 혈압 걱정에 좋아하던 커피를 단숨에 끊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커피 한 잔이 혈압에 큰 영향을 줄까요?
혹시, 마셔도 되는 사람과 피해야 할 사람이 따로 있는 건 아닐까요?

이번 글에서는 카페인이 혈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누가 더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커피는 혈압에 어떤 영향을 줄까?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자극합니다

카페인은 대표적인 중추신경계 자극제입니다.
섭취 후 약 30분~1시간 이내에 흡수되어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5~15mmHg 정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변화는 개인차가 큽니다.

  • 어떤 사람은 커피 한 잔에도 두근거림, 불안, 가슴 통증을 느끼고
  • 어떤 사람은 아메리카노 2잔을 마셔도 아무 변화가 없습니다.

핵심은 ‘카페인 민감도’

☆ 고카페인 민감자

  • 커피, 에너지음료, 초콜릿 섭취 후 두근거림, 불면, 소화불량
  • 보통 체질적으로 교감신경이 쉽게 자극되는 사람

★ 저카페인 민감자

  • 커피 2~3잔에도 별다른 반응 없음
  • 간 대사 속도가 빠르거나 커피에 익숙한 사람

고혈압 환자라면 자신이 카페인 민감자인지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 일시적인 혈압 상승은 입증되었지만,
    장기적인 고혈압 위험 증가와의 연관성은 개인 차이에 따라 다릅니다.
  • 1일 1~2잔 수준의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해롭지 않거나 오히려 유익할 수 있다는 연구도 다수 존재합니다.

단, 이미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이나,
카페인 섭취 후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은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의사 진단으로 디카페인을 마시는 남성

 

그럼, 하루 한 잔은 괜찮을까?

다음 기준을 참고해보세요.

항목기준
기저 혈압이 안정적이고 140/90mmHg 미만
카페인 섭취 후 불쾌 증상이 없다면 하루 1잔 이내 허용 가능
카페인 민감자가 아니라면 개인에 따라 1~2잔도 가능
섭취 시간 오전 1잔 권장, 저녁 이후는 피함

고혈압 환자를 위한 카페인 관리 팁

  1. 공복 섭취 피하기
    → 혈압 급상승 가능성 있음
  2. 오후 섭취 줄이기
    → 교감신경 자극 → 불면 → 혈압에 악영향
  3. 디카페인 커피 고려하기
    → 맛은 유지하고 자극은 줄이기
  4. 차(tea)류로 대체하기
    → 녹차, 보이차 등도 약한 카페인 포함

“고혈압인데 커피 마셔도 될까요?”
정답은 **“사람마다 다르다”**입니다.

하루 한 잔의 커피가 모두에게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혈압이 높거나, 커피를 마신 후 몸이 불편했다면
카페인을 줄이고 섭취 패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커피를 끊기보다는 현명하게 마시는 법을 아는 것이 고혈압 관리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