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근경색

흡연과 심근경색, 그 끊을 수 없는 연결

by 하트케어 매니저 2025. 7. 14.

흡연은 왜 심근경색을 일으킬까요?

담배는 폐암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흡연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을 심혈관질환 사망률의 가장 큰 후천적 요인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20~40대 남성의 심근경색은 흡연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흡연이 심장과 혈관에 미치는 영향

1. 혈관 수축과 혈압 상승

니코틴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혈압과 심박수를 상승시킵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고, 심장은 더 큰 부담을 받게 됩니다.

2. 동맥경화 촉진

담배 연기 속 **일산화탄소(CO)**와 활성산소는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켜
죽상경화증을 가속화합니다.

3. 혈액 응고 증가

흡연은 혈소판 응집을 촉진해 혈전을 잘 형성하게 합니다.
결국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흡연이 유발하는 혈관 수축·죽상경화·혈압 상승을 직관적으로 표현합니다.
흡연이 심장과 혈관을 공격하는 순간

흡연자의 심근경색 발병률은 얼마나 높을까?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이 약 2~4배 높습니다.
  • 특히 20~50대 남성의 조기 심근경색은 대부분 흡연과 관련이 있습니다.
  • 하루 1갑 이상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 대비 심근경색 사망률이 3배 이상 증가합니다.

※ 미국 심장학회(AHA), 유럽심장학회(ESC), 질병관리청 등 공신력 있는 기관 모두 흡연을 심근경색 고위험 요인으로 분류합니다.

간접흡연도 심장을 위협합니다

  • 간접흡연만으로도 심장질환 위험이 25~30% 증가합니다.
  • 특히 어린이, 여성, 고령자는 간접흡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공공장소 흡연은 타인의 심장 건강까지 해치는 행위입니다.

금연 시 심혈관 위험은 얼마나 줄어들까?

금연 20분 후

  • 심박수, 혈압 정상화 시작

금연 1년 후

  • 심근경색 위험이 절반 이하로 감소

금연 5년 이상

  • 심혈관질환 위험이 비흡연자 수준으로 회복

즉, 지금 금연해도 늦지 않습니다.
심장은 복구 능력이 강한 장기이며, 빠르게 회복 반응을 보입니다.

흡연은 심근경색의 가장 강력한 유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담배는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심장을 공격하는 독성물질입니다.
개인의 노력과 가족의 지지, 전문 금연 프로그램의 도움을 통해
지금 바로 금연을 시작하는 것이 심근경색 예방의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