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압약 중단, 언제부터 가능할까?고혈압 2025. 7. 31. 10:02
혈압약 끊을 수 있는 조건은?
“혈압이 잘 조절되는데, 약을 끊어도 될까요?”
고혈압 환자들이 가장 자주 고민하는 질문입니다.
혈압이 정상 범위에 들어오면, “이제는 약을 끊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하지만 중요한 건, 혈압 수치만으로는 약을 끊어도 되는지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약물 중단은 반드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고혈압약을 끊고 싶어하는 이유는?
- 부작용에 대한 불안
- 약에 ‘의존하게 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
- “혈압이 이제 괜찮은데 왜 계속 먹어야 하지?”라는 의문
- 장기 복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약을 중단한 후 갑자기 혈압이 오르거나,
뇌졸중·심근경색 등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혈압약을 끊고 싶은 마음, 과연 괜찮을까? 혈압약, 정말 끊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약을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전체 고혈압 환자 중에서도 극히 일부에게만 해당됩니다.약을 중단할 수 있는 대표적 조건
조건설명정상 혈압이 1년 이상 지속 수축기 120~129mmHg / 이완기 80mmHg 이하 생활습관 개선이 성공적으로 유지 체중 감소, 저염식, 꾸준한 운동 등 복부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동반 질환이 없음 위험 요인 미보유자에 한함 약을 아주 소량만 복용 중 1종류, 저용량에 한해 단계적 중단 고려 의사의 계획 하에 감량 또는 중단 테스트 진행 정기 모니터링과 병행 필수 가정혈압과 병원혈압 모두 정상범위여야 하며,
중단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인 혈압 측정 및 관찰이 필수입니다.자가 판단 중단, 절대 금지
- 증상이 없다고 끊는 것 → 매우 위험
- 혈압 수치가 며칠간 정상이라고 끊는 것 → 잘못된 판단
- 약을 끊고 어지럼증, 두통, 불면, 가슴 두근거림이 생겼다면? → 재발 가능성 높음
약물 중단은 언제나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계획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갑작스런 중단은
반동성 고혈압(rebound hypertension)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약을 조절해야 합니다 약을 끊지 않더라도 줄일 수는 있습니다
고혈압 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 복용 약제 수를 줄이거나
- 용량을 감량하거나
- 아예 격일 복용 등으로 조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약을 먹지 않고 관리하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하지만,
약을 끊는 건 치료가 끝났다는 뜻이 아니라
또 다른 관리의 시작입니다.자기 마음대로 끊는 것이 아닌,
혈압 수치, 생활습관,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의료진과 함께 안전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약, 정말 평생 먹어야 하나요? (0) 2025.07.30 고혈압, 나트륨 외에도 이런 원인이 있습니다 (0) 2025.07.29 "소금 대신 뭐 쓰면 좋을까요?” 고혈압 식단 필수 정보 (0) 2025.07.28 고혈압 환자가 국물부터 끊어야 하는 이유 (0) 2025.07.27 하루 한 잔 커피, 정말 혈압에 안 좋을까? (0) 2025.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