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압약 중단, 언제부터 가능할까?고혈압 2025. 7. 31. 10:02
혈압약 끊을 수 있는 조건은?
“혈압이 잘 조절되는데, 약을 끊어도 될까요?”
고혈압 환자들이 가장 자주 고민하는 질문입니다.
혈압이 정상 범위에 들어오면, “이제는 약을 끊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하지만 중요한 건, 혈압 수치만으로는 약을 끊어도 되는지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약물 중단은 반드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고혈압약을 끊고 싶어하는 이유는?
- 부작용에 대한 불안
- 약에 ‘의존하게 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
- “혈압이 이제 괜찮은데 왜 계속 먹어야 하지?”라는 의문
- 장기 복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약을 중단한 후 갑자기 혈압이 오르거나,
뇌졸중·심근경색 등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혈압약을 끊고 싶은 마음, 과연 괜찮을까? 혈압약, 정말 끊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약을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전체 고혈압 환자 중에서도 극히 일부에게만 해당됩니다.약을 중단할 수 있는 대표적 조건
조건설명정상 혈압이 1년 이상 지속 수축기 120~129mmHg / 이완기 80mmHg 이하 생활습관 개선이 성공적으로 유지 체중 감소, 저염식, 꾸준한 운동 등 복부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동반 질환이 없음 위험 요인 미보유자에 한함 약을 아주 소량만 복용 중 1종류, 저용량에 한해 단계적 중단 고려 의사의 계획 하에 감량 또는 중단 테스트 진행 정기 모니터링과 병행 필수 가정혈압과 병원혈압 모두 정상범위여야 하며,
중단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인 혈압 측정 및 관찰이 필수입니다.자가 판단 중단, 절대 금지
- 증상이 없다고 끊는 것 → 매우 위험
- 혈압 수치가 며칠간 정상이라고 끊는 것 → 잘못된 판단
- 약을 끊고 어지럼증, 두통, 불면, 가슴 두근거림이 생겼다면? → 재발 가능성 높음
약물 중단은 언제나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계획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갑작스런 중단은
반동성 고혈압(rebound hypertension)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약을 조절해야 합니다 약을 끊지 않더라도 줄일 수는 있습니다
고혈압 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 복용 약제 수를 줄이거나
- 용량을 감량하거나
- 아예 격일 복용 등으로 조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약을 먹지 않고 관리하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하지만,
약을 끊는 건 치료가 끝났다는 뜻이 아니라
또 다른 관리의 시작입니다.자기 마음대로 끊는 것이 아닌,
혈압 수치, 생활습관,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의료진과 함께 안전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만 되면 혈압이 오르는 이유는? (0) 2025.08.02 긴장만 하면 혈압이 오르는 이유, 알고 계셨나요? (0) 2025.08.01 고혈압약, 정말 평생 먹어야 하나요? (0) 2025.07.30 고혈압, 나트륨 외에도 이런 원인이 있습니다 (0) 2025.07.29 "소금 대신 뭐 쓰면 좋을까요?” 고혈압 식단 필수 정보 (0)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