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수치 기준표 – 고혈압인지 확인해보세요
많은 분들이 병원에서 혈압을 재고 “정상입니다” 혹은 “조금 높습니다”라는 말만 듣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혈압 수치 기준을 알고 있다면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고 조기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혈압 수치의 단계별 기준과 의미,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대처해야 할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고혈압 기준표로 본 혈압 수치
대한고혈압학회(2022) 기준
구분수축기 혈압 (mmHg)이완기 혈압 (mmHg)
정상혈압 | < 120 | < 80 |
주의혈압 | 120~129 | < 80 |
고혈압 전단계 | 130~139 | 80~89 |
고혈압 1기 | 140~159 | 90~99 |
고혈압 2기 | ≥ 160 | ≥ 100 |
고위험군 | ≥ 180 | ≥ 110 |
※ 단, 정확한 진단은 여러 날, 안정된 상태에서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2.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다르게 나올 때
수축기(최고혈압)와 이완기(최저혈압)가 다른 범주에 있을 경우, 더 높은 단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 145/85 → 수축기 기준으로 ‘고혈압 1기’로 분류
3. 가정혈압 vs 병원혈압
- 병원에서만 높은 혈압 → ‘백의고혈압(하얀 가운 고혈압)’
- 집에서는 높은데 병원에선 정상이면 → ‘가면고혈압’
이러한 경우는 **24시간 활동혈압 측정기(Ambulatory BP Monitoring)**나 가정혈압 측정기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4. 혈압 수치, 어느 정도부터 관리가 필요한가?
- 130/85 이상이라면 ‘생활습관 개선’은 무조건 시작해야 합니다.
- 140/90 이상이 2회 이상 반복되면 병원 진료 필요.
- 180/110 이상이면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고혈압은 증상이 없어도 이미 혈관 손상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기 판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5. 혈압 측정 시 자주 하는 실수
- 커피나 담배 후 바로 측정
- 대화 중 측정
- 팔을 심장보다 아래로 두는 자세
이런 요인들은 수치를 높이기 때문에, 10분간 안정 후, 정자세로 2~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혈압은 단순한 숫자이지만, 그 숫자가 당신의 심장과 혈관 건강을 말해주는 지표입니다. 정확한 기준을 알고 있어야 방심하지 않고, 반대로 불필요한 걱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 당장 자신의 혈압을 확인하고, 기준표에 따라 어디에 해당되는지 체크해보세요.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얀 가운 고혈압? 병원에서만 혈압이 높다고요? (0) | 2025.07.21 |
---|---|
고혈압, 조용한 살인자의 정체는? (0) | 2025.07.20 |
고혈압의 두 얼굴, 본태성과 이차성의 결정적 차이 (0) | 2025.07.19 |
고혈압 환자가 먹으면 좋은 과일·채소 TOP 5 (0)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