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혈압

고혈압, 조용한 살인자의 정체는?

by 하트케어 매니저 2025. 7. 20.

고혈압, 정확히 무엇일까?

고혈압은 이름은 익숙하지만, 막상 '정확히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라고 물으면 대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혈압이 높다는 말로는 부족합니다. 고혈압은 장기적인 심혈관 부담과 손상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이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조용한 살인자(Silent Killer)**라고도 불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의 정의, 진단 기준, 발생 원인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혈압이란 무엇인가?

혈압은 혈액이 동맥벽을 밀어내는 압력을 말합니다. 이는 심장이 수축할 때의 **수축기 혈압(SBP)**과, 심장이 이완할 때의 **이완기 혈압(DBP)**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120/80 mmHg"이라는 혈압 수치는 수축기 120, 이완기 80을 의미합니다.

고혈압이 뭘까?

 

2. 고혈압의 진단 기준

대한고혈압학회 기준(2022)에 따르면 고혈압의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수축기 혈압 (mmHg)이완기 혈압 (mmHg)
정상 < 120 < 80
고혈압 전단계 120~139 80~89
고혈압 1기 140~159 90~99
고혈압 2기 ≥ 160 ≥ 100
 

한 번의 측정만으로는 진단하지 않으며, 여러 날, 안정된 상태에서 반복 측정 후 진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3. 고혈압은 왜 생기는가?

고혈압의 90% 이상은 본태성 고혈압으로, 명확한 원인이 없습니다. 유전, 나이,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이 외에도 신장질환, 호르몬 이상, 약물(스테로이드 등)으로 인해 생기는 이차성 고혈압도 있으며, 이 경우 근본 원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4. 고혈압이 무서운 이유

고혈압 자체로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심근경색, 협심증
  • 뇌졸중
  • 심부전
  • 신부전
  • 망막 출혈 및 시력 저하

즉, 적극적으로 조절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혈압 측정과 뇌졸증, 신부전 등 고혈압 합병증

5. 혈압 관리,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약 먹을 정도는 아니니까’라고 방심하지만, 정상혈압을 넘는 시점부터 혈관 손상은 서서히 진행됩니다. 혈압이 130을 넘는 경우에도, 생활습관 개선은 즉시 시작해야 하며, 꾸준한 측정과 관리가 필수입니다.

고혈압은 단순히 수치로만 볼 질환이 아니라, 심혈관 건강 전반에 영향을 주는 만성질환입니다. 특히 증상이 없는 초기 단계에서도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며, 자신의 혈압 상태를 정확히 아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혈압을 정확히 재는 방법과 가정혈압 측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