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정맥

심장 두근거림, 폐 검사를 함께 해야 하는 이유

by 하트케어 매니저 2025. 7. 2.

부정맥과 폐질환의 연관성

“숨이 차서 병원에 갔는데 부정맥이라네요. 혹시 폐 때문일까요?”

호흡이 힘들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단순히 스트레스나 심장 때문만은 아닙니다.
실제로 폐질환이 심장의 박동에 영향을 주어 부정맥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과 폐는 하나의 순환 시스템이기 때문에, 폐가 아프면 심장이 같이 반응합니다.
이 글에서는 부정맥과 폐질환의 연관성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


1. 심장과 폐는 함께 움직입니다

심장은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냅니다.
따라서 폐의 기능이 떨어지면 산소 공급이 줄고, 심장은 그 부족을 메우기 위해 더 빠르게 뛰게 됩니다.
이때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메커니즘:

  • 폐 기능 저하 → 산소 부족 → 교감신경 자극 → 심장박동 증가
  • 폐내 압력 변화 → 심방 압력 증가 → 심방 확장 → 심방세동 유발

2. 어떤 폐질환이 부정맥을 유발할까?

폐질환 종류부정맥 발생 기전유발 가능 부정맥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만성 저산소증, 폐혈관 저항 증가 → 우심방 부담 심방세동, 조기박동
폐섬유증 폐 순응도 저하 → 산소 교환 장애 동성서맥, 빈맥
폐고혈압 우심실 압력 증가 → 심방 확장 심방세동, 심방조동
수면무호흡증 수면 중 저산소·CO₂ 축적 → 교감신경 항진 야간 부정맥, 서맥
천식 반복적 저산소·약물(베타효능약물) 영향 빈맥, 심방세동
폐렴/감염 전신 염증 반응 → 심박수 상승 일시적 부정맥
 

💡 특히 COPD 환자의 30~50%는 심방세동을 동반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3. 폐질환이 유발한 부정맥,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 가슴 두근거림 (resting 상태에서도)
  • 숨참과 두근거림이 동시에 발생
  • 앉거나 누웠을 때 가슴이 더 답답함
  • 새벽이나 잠든 사이 가슴 통증, 불규칙한 맥박
  • 기침과 함께 맥박이 불규칙해짐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단순 호흡기 증상이 아닌 심장 전기신호 이상 가능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4. 부정맥 진단 시 폐 상태도 함께 확인해야 하는 이유

부정맥 진단 시 심전도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폐 관련 검사를 병행하면 근본 원인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검사설명
폐기능검사 (PFT) FEV1, FVC 등 측정 → COPD, 천식 확인
흉부 X-ray/CT 폐 섬유화, 결절, 폐고혈압 평가
수면다원검사 수면무호흡 여부 진단
산소포화도 측정 안정 시/운동 후 저산소 여부 확인
심장초음파 우심방/우심실 확장 여부 확인
 

5. 폐질환 환자, 부정맥 발생 막으려면?

  • 호흡기 질환 치료 중이라면 심장 부하 줄이기 위해 약물 복용 규칙 준수
  • 베타작용기관지확장제 등 약물 복용 시 심박수 변화 유의
  • 수면무호흡 환자는 CPAP 사용 적극 권장
  • 수분 과잉 섭취, 나트륨 과다 섭취 줄이기
  • 정기적으로 심전도 검사 병행

💡 특히 폐고혈압이 심하면 부정맥과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개입이 중요합니다.


부정맥은 단순히 심장만의 문제로 보기 어렵습니다.
폐가 아프면 심장이 무너진다는 말처럼, 폐질환은 심장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근거림, 가슴 불편함, 숨참 증상이 있다면 심장과 폐를 함께 평가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숨이 찰수록, 심장은 흔들립니다. 부정맥은 폐를 통해 경고할 수 있습니다.”